나라별 커피 등급
남아메리카
1. 콜롬비아
매우 중요한 커피 산지로써 전 세계 커피 생산량 3위를 차지하는 국가에요.
콜롬비아는 18세기 프랑스 선교사들에 의해 전래되었고 19세기 초부터 본격적으로 재배를 하기 시작했어요.
적도가 지나가는 콜롬비아는 연 2회 수확을 하며 수확기는
9월~1월 이 주 수확기
4월~6월 이 부 수확기로 나뉘어요.
콜롬비아에서 생산된 커피는 마일드 커피의 대명사로
여러가지 원두를 블렌딩을 할 때 기본을 잡아주는 역할을 주로 해요.
수프리모와 엑셀소가 대표적인 콜롬비아의 커피입니다.
콜롬비아도 로부스타 종의 커피 재배를 금하는 나라로 커피 수출이 경제에 매우 중요하기에
지속적으로 좋은 품질을 유지하기 위해 그러는 것으로 알아요.
콜롬비아는 스크린, 그러니까 생두의 크기로 등급을 나누며
Screen size 13 이하의 생두는 수출을 금지하고 자국에서만 소비를 해요.
엄격한 품질관리를 하면서도 일정 품질 이하의 생두는 외국으로 판매를 하지 않으니
얼마나 콜롬비아에서 커피 생산에 대해 신경을 쓰고 있는지 알 수 있어요.
등급 | 생두 크기 |
Supremo | Screen size 17 이상 |
Exelso | Screen size 15~16 |
U.G.Q (Usual Good Wuality) | Screen size 14 |
콜롬비아 내의 주요 생산지는
마니살레스, 아르메니아, 메델린, 후일라가 있으며
우리나라에는 주로 지역 이름 + 수프리모 라는 이름을 가진 것들이 유통되고 있어요.
예를 들면
후일라 수프리모
메델린 수프리모 같이 말이죠.
2. 브라질
세계 최대 커피 생산량을 가진 나라로 전세계 커피 생산량 순위에서 부동의 1위를 차지하고 있어요.
순위는 1위라지만 생산량 %로 따졌을 때에는 40%를 차지하죠.
브라질에서는 아라비카 종을 주로 재배하지만 (75% 정도)
로부스타 종도 재배하기도 합니다.
가공방식은 펄프드 내츄럴 방식을 주로 사용해요.
생산량이 워낙 많기에 사람 손으로 수확하는 것은 힘들어서 기계로 수확해요.
주요 커피는 산토스와 세하도가 있어요.
원두의 등급은 크기나 고도와는 다르게 결점 계수를 통해 점수를 평가해 등급이 나뉘어요.
등급 | 결점두 점수 (300g) |
No. 2 | 4점 이하 |
No. 3 | 12점 이하 |
No.4 | 26점 이하 |
No. 5 | 46점 이하 |
No. 6 | 86점 이하 |
숫자가 낮을 수록 등급이 높아요!!!
아프리카
아프리카 대륙은 커피의 고향이죠.
이곳에서 생산하는 커피들 또한 등급을 나누어 판매되고 있어요.
1. 에티오피아
진정한 커피의 고향으로써 연간 40만톤 정도의 생산량을 자랑하고 있어요.
해발고도 1500~3000m 사이의 고지대에서 주로 생산하며
적당한 강수량과 연평균 기온은 아라비카 종을 재배하기에 최적의 조건을 가지고 있어요.
전 세계 커피 생상량은 5위라지만 자국의 소비가 많아
50%가 안 되는 양만이 외국에 수출이 되어요.
에티오피아 커피 중에서는
하라
예가체프
시다모
코케
등 유명한 커피가 많죠.
등급은 브라질과 비슷하지만 점수가 아닌 결점두의 개수로 평가를 해요.
등급 | 결점두 개수 (300g) |
G1 | 3개 이하 |
G2 | 4~12개 |
G3 | 13~25개 |
G4 | 26~45개 |
G5 | 46~100개 |
G6 | 101~153개 |
G1의 등급이 가장 높아요!
2. 케냐
19세기 말에 커피의 재배가 시작되었다고 추정하며 기독교 선교단체가 종자를 가져와 재배한 것이 시초에요.
커피 생상량의 70% 이상이 소규모 농장에서 생산되기에 품질이 일정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생각이 들기도 하지만
오히려 협업시스템이 잘 갖추어져 있어서
국제 사회에서 케냐의 커피는 좋은 품질로 인정받고 있어요.
등급은 생두의 크기로 나뉘어요.
등급 | 생두 크기 |
AA | Screen size 17~18 |
AB | Screen size 15~16 |
C | Screen size 14~15 |
기타 (TT, T, UG 등) |
3. 탄자니아
우리나라에서는 킬리만자로의 표범으로 익숙한 킬리만자로의 북부 지방에서 주로 생산하며
아라비카 종이 80%, 로부스타 종이 20%를 차지해요.
케냐 보다 생산량이 많아 생산 순위는 18위 이지만
우리나라에는 케냐 커피보다는 보기가 힘들어요.
케냐와 비슷한 시스템을 가지고 있어서 그런지
등급을 나누는 방법도 비슷해요.
등급 | 생두 크기 |
AA | Screen size 18 이상 |
A | Screen size 17 이상 |
B | Screen size 16 이상 |
C | Screen size 15이상 |
주요 커피로는
생산지의 이름이 들어간 '탄자니아 킬리만자로' 이며
'세계 몇 대 커피' 라는 여러가지 기준에서
4대 커피 중 하나로 꼽히기도 해요.
'커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커피 로스팅에 관하여 (0) | 2021.05.25 |
---|---|
나라별 커피 등급 3 (0) | 2021.05.25 |
나라별 커피 등급 (0) | 2021.05.20 |
커피의 등급 (0) | 2021.05.18 |
커피 생산국과 생두 분류 명칭 (0) | 2021.05.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