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커피

커피 향미에 관한 용어 (1)

by 마르티니 2021. 7. 3.

커피 향미에 관한 용어 (1)

 

 

 

커피는 다양한 향으로 소개되고 있어요. 

 

어떤 향이 특징적이냐에 따라서 원두의 특징도 갈리게 되지요.

 

향은 맛에 있어서 큰 부분을 차지하기에 정확한 향을 설명하는 것이 원두를 설명하는 것에 기초가 됩니다.

 

오늘은 커피 향미에 쓰이는 용어들을 적어보려 해요.

 

 

 

1. 커피 향기를 설명하는 용어

 

 

Aftertaste (후미)

- 커피를 삼킨 후에 입안에서 지속되는 향기, 초콜릭향, 탄내, 향신료향 등을 말한다.

 

Aroma

- 아로마는 드라이 아로마(Dry-Aroma)와 컵 아로마(Cup-Aroma)로 구분한다. 드라이 아로마는 로스팅된 원두로부터 기체 상태로 발산되는 향기를 의미하고, 컵 아로마는 추출된 커피로부터 증발되는 향기를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꽃향기, 과일향기, 초콜릿향기, 캐러멜향기 등이다.

 

Bouquet (향기)

- 전체적인 향을 의미하는 것으로 분쇄된 커피향, 추출된 커피향, 입안에 남는 후미의 총괄적인 개념이다.

 

Caramelly (캐러멜향)

- 추출 커피의 무거운 향기 중의 하나로 중간 정도의 로스팅 과정에서 만들어지는 버터사탕, 설탕시럽, 꿀과 같은 종류이다.

 

Chocolaty (초콜릿향)

- 풀시티 정도의 조금 강한 로스팅에서 만들어지는 설탕 등의 당분을 첨가하지 않은 초콜릿이나 바닐라 같은 냄새로 주로 후미에서 느껴진다.

 

Flat (빈약한 향미)

- 데드(Dead)라고도 하며 부케, 아로마, 뒷맛등의 향기들이 어떤 형태로든 거의 느낄 수 없는 상태를 표현한다.

 

Fragrance (볶은 커피 향기)

- 원두 상태의 커피에서 만들어지는 향기를 코로 직접 들이마심으로써 느껴지는 향기로 커피 봉투를 개봉하였을 때 느껴지는 강한 느낌과 비슷하여 휘발성이 강하다.

 달콤한 꽃향기에서 달콤한 향신료 향기까지 다양하다.

 

Fruity (과일향기)

- 생두 자체가 갖고 있었던 냄새 성분으로 약하게 로스팅되었을 때 강조되는 향으로써 휘발성이 강해 신선한 커피에서만 느낄 수 있다. 

 감귤류부터 딸기류 등의 향기.

 

Full (풍부한)

- 커피의 전체적 향기가 적당한 강도로 균형 잡혀 있다는 표현.

 

Herby (허브향)

- 대부분 추출된 커피에서 나는 향기의 하나로 휘발성이 강한 알데히드 및 에스테르에 의하여 생성된다.

 향기로운 채소 유형의 향기와 완두와 같은 콩류 향기가 있다.

 

Nutty (고소한 향기)

- 추출 커피를 마실 때 느끼는 고소한 향기로 커피를 삼킬 때 증발된 증기 중의 휘발성 화합물로 볶은 땅콩 향기를 연상시킨다.

 

Spicy (향신료 향)

- 추출 커피를 마신 다음 입안에 남는 향기로 저휘발성 탄화수소 화합물에 의하여 생성된다. 

 향신료, 계피나무, 정향나무 향기를 연상시킨다.

 

Rich (풍부한)

- 볶은 커피의 향기, 추출 커피 향기, 마시면서 느끼는 향기, 입안에 남는 향기의 강도가 풍부할 때 사용된다.

'커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커피 향미에 관한 용어 (3)  (0) 2021.07.08
커피 향미에 관한 용어 (2)  (0) 2021.07.05
커피의 향미  (0) 2021.06.29
에스프레소 (3)  (0) 2021.06.28
에스프레소 (2)  (0) 2021.06.27

댓글